Posts 몬티 홀 문제에 대한 3가지 풀이
Post
Cancel

몬티 홀 문제에 대한 3가지 풀이

몬티 홀 문제


세 개의 문이 있다.

이 중 두 개의 문 뒤에는 염소가 있고, 하나의 문 뒤에는 자동차가 있다.

사회자는 자동차가 있는 문을 미리 알고 있으며,

내가 하나의 문을 선택하면, 내가 선택하지 않은 두 개의 문 중 염소가 있는 문을 열어서 보여준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나는 내가 고르지 않은 닫힌 문으로 선택을 바꿀 기회를 얻게 된다.

선택을 바꾸는 것이 유리할까?

내가 선택을 바꿨을 때, 바꾼 문 뒤에 자동차가 있을 확률은 얼마일까?


  • 정답 : \(\frac{2}{3}\)

  • 몬티 홀의 딜레마 : \(\frac{1}{2}\)이 아니고 \(\frac{2}{3}\) 인 이유는 무엇인가?


조건부 확률 계산에 대한 논리와 직관의 딜레마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문제.

만약 선택 순간만을 따져서, 두 개의 문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라면 당연히 \(\frac{1}{2}\)확률이 맞다.

하지만 조건부 확률로 계산하게 되면 선택을 바꾸는 것이 무조건 높은 확률을 가지게 된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런 계산이 나오게 되는 과정을 3가지 풀이 방법에 따라 살펴보자.


풀이 1 - 여사건 : 확률역전세계



내가 처음에 어떤 문을 고르든, 그 문 뒤에 자동차가 있을 확률은 \(\frac{1}{3}\)이다.

그리고 염소가 있을 확률은 \(\frac{2}{3}\)이다.


그리고 사회자는 이미 자동차의 위치를 알고 있으므로

내가 첫 번째 선택을 한 상태에서,

내가 고르지 않은 문 중에서 ‘반드시’ 염소가 있는 문을 열어준다.


이제 나는 선택을 바꿀 기회를 얻게 되는데,

내가 처음에 자동차가 있는 문을 골랐을 확률은 \(\frac{1}{3}\)이다.

내가 처음에 염소가 있는 문을 골랐을 확률은 \(\frac{2}{3}\)이다.


그런데 선택을 바꾸게 된다면

내가 처음에 자동차가 있는 문을 골랐다면 선택을 바꾼 후 ‘반드시’ 염소가 있는 문을 고르게 되고

내가 처음에 염소가 있는 문을 골랐다면 선택을 바꾼 후 ‘반드시’ 자동차가 있는 문을 고르게 된다.


이제 다시 확률을 계산해보면

만약 내가 선택을 바꾼다는 행위가 전제되었을 때,

‘내가 선택한 문 뒤에 자동차가 있을 확률(\(\frac{1}{3}\))’이었던 것은

‘내가 선택한 문 뒤에 염소가 있을 확률(\(\frac{2}{3}\))’이 되어버리고

반대로

‘내가 선택한 문 뒤에 염소가 있을 확률(\(\frac{2}{3}\))’이었던 것은

‘내가 선택한 문 뒤에 자동차가 있을 확률(\(\frac{1}{3}\))’이 되어버린다.


다시 정확히 정의해보자면

‘내가 처음에 자동차를 고르고 선택을 바꿔서 염소를 얻게 되는 확률’은

‘처음에 염소를 고르고 선택을 유지해서 염소를 얻게 되는 확률’인 \(\frac{2}{3}\)와 동일하고,

‘내가 처음에 염소를 고르고 선택을 바꿔서 자동차를 얻게 되는 확률’은

‘처음에 자동차를 고르고 선택을 유지해서 자동차를 얻게 되는 확률’인 \(\frac{1}{3}\)과 동일하다.


따라서 ‘선택을 바꾸는 행위’는 ‘초기 사건의 확률’과 ‘초기 사건의 여사건의 확률’을 서로 뒤집어버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결국 선택을 바꾸는것이 유리하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할까?

  1. 사회자가 미리 자동차의 위치를 알고 있고,

  2. 초기 선택 후, 내가 선택하지 않은 문 중에서 ‘반드시’ 염소가 있는 문을 열어준다.

이렇게 두 가지 전제가 있기에 가능하다.


만약 3개의 문이 아니라 100개의 문이 있다고 가정하자.

내가 하나를 선택했을 때, 사회자는 내가 선택하지 않은 99개의 문에서 염소가 있는 98개의 문을 열어줄 것이다.

그리고 나는 내 선택을 유지할지, 내가 고르지 않은 문으로 선택을 바꿀지 고민하게 된다.

여기서도 만약 내가 선택을 바꾸게 된다면,

자동차의 확률(\(\frac{1}{100}\))은 염소의 확률(\(\frac{99}{100}\))로 역전되어 버리므로

선택을 바꾸는 것이 유리하다.


결국 핵심을 정리하자면 이렇다.

사회자가 미리 정답을 알고 있고, 내가 선택한 문을 제외한 문 중에서 ‘반드시 염소가 있는 문을 열어주기 때문’에

내가 선택을 바꾸는 것은 말 그대로 ‘내가 최초 선택했을 때의 확률에 대한 여사건을 고르는 것’이 되어버린다.

문이 3개면 \(1 - \frac{1}{3} = \frac{2}{3}\),

문이 100개면 \(1 - \frac{1}{100} = \frac{99}{100}\)가 된다.


풀이 2 - 경우를 나누어 살펴보기



이번에는 구체적인 사건의 경우를 나누어 모두 확인해보자.

세 개의 문을 순서대로 A, B, C라고 한다.

A에는 자동차가 있고, B와 C에는 염소가 있다.


두 가지 선행 사건으로 나누어 경우의 수를 살펴볼 것이다.

  1. 선택을 바꾸지 않은 경우
  2. 선택을 바꾼 경우


그리고 다음을 확인하게 된다.

‘선행 사건이 결정된 상태에서, 내 최초 선택에 대한 당첨 확률’


일단 우선은 선택을 바꾸지 않은 경우를 살펴보자.

선택을 바꾸지 않으면 사회자가 어떤 문을 열어주든 확률에 개입하지 않기 때문에, 정답만을 바로 살펴볼 수 있다.


A를 골랐을 경우, 당첨이다.

B를 골랐을 경우, 당첨이 아니다.

C를 골랐을 경우, 당첨이 아니다.

따라서 선택을 바꾸지 않았을 때의 당첨 확률은 \(\frac{1}{3}\)이다.


이번에는 선택을 바꾸는 경우를 살펴본다.

A를 골랐을 경우, 사회자는 B 또는 C를 열어서 보여준다.

그리고 나는 사회자가 열어주지 않은 나머지 문(B 또는 C)으로 선택을 바꾸게 되는데,

당첨되지 않는다.


B를 골랐을 경우, 사회자는 C를 열어서 보여준다.

그리고 나는 A로 선택을 바꾸게 되고, 당첨이다.


C를 골랐을 경우, 사회자는 B를 열어서 보여준다.

그리고 나는 A로 선택을 바꾸게 되고, 당첨이다.

따라서 선택을 바꿨을 때의 당첨 확률은 \(\frac{2}{3}\)가 되는 것이다.


이 때, 조건부 확률에 대해 정확히 정의해볼 필요가 있다.

여기서 ‘당첨 확률’이 의미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선택을 바꾸거나 바꾸지 않았을 때, 내 최초 선택에 따른 당첨 확률’


따라서 ‘선택을 바꾸거나 바꾸지 않는 것’이 선제 조건이 되는 것이고,

우리가 결국 계산하게 되는 것은 단순히 ‘내 최초 선택에 따른 당첨 확률’이 아니라

  1. ‘선택을 바꾸지 않았을 때’ 내 최초 선택에 따른 당첨 확률
  2. ‘선택을 바꿨을 때’ 내 최초 선택에 따른 당첨 확률

이 중에서 2번에 대한 확률(조건부 확률)인 것이다.


‘내가 선택을 바꿨을 때, 바꾼 문 뒤에 자동차가 있을 확률은 얼마일까?’

우리는 이 문장 자체를 독립 확률(\(P(A)\))이 아닌 조건부 확률(\(P(A \mid B)\))로 해석해야 했던 것이다.

이 문장이 조건부 확률을 의미한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이 문제의 정답이 \(\frac{2}{3}\)라는 것을 결코 이해하지 못할 수 있기에 어려운 문제다.


풀이 3 - 베이즈 정리



내가 문 A를 선택했을 때의 상황을 가정하고 베이즈 정리를 이용해 조건부 확률을 계산해보자.

우선, 각 확률에 대해 정의하자면 다음과 같다.


\(P(A)\) = A에 자동차가 있을 확률 = \(\frac{1}{3}\)

\(P(B)\) = A에 자동차가 있을 확률 = \(\frac{1}{3}\)

\(P(C)\) = C에 자동차가 있을 확률 = \(\frac{1}{3}\)

\(P(M_A)\) = 진행자가 A를 열어서 염소를 보여줄 확률 = 0

\(P(M_B)\) = 진행자가 B를 열어서 염소를 보여줄 확률 = \(\frac{1}{2}\)

\(P(M_C)\) = 진행자가 C를 열어서 염소를 보여줄 확률 = \(\frac{1}{2}\)


진행자는 문 B 또는 C를 열어서 염소를 보여줄 것이다.

문 B를 열어 염소를 보여주는 상황과 문 C를 열어 염소를 보여주는 상황은

서로 동일한 확률 분포를 갖게될 것이므로,

둘 중 한가지 상황에 대해서만 해석해도 충분하다.

따라서 문 B를 열어 염소를 보여주는 상황을 가정하여 해석해보자.


진행자가 문 B를 열어서 염소를 보여주었다는 사건이 선행 사건이 된다.

따라서 계산해야 할 조건부 확률은 다음과 같다.


\(P(A \mid M_B)\) 

= 진행자가 B를 열어서 염소를 보여주었을 때, A에 자동차가 있을 확률

= 최초에 A를 선택했고, 선택을 바꾸지 않은 경우 당첨될 확률


\(P(C \mid M_B)\) 

= 진행자가 B를 열어서 염소를 보여주었을 때, C에 자동차가 있을 확률

= 최초에 A를 선택했고, 선택을 바꾼 경우 당첨될 확률


\(P(A \mid M_B)\)를 계산해보자.

베이즈 정리에 의해,

\(P(A \mid M_B) = \frac{P(M_B \mid A) \cdot P(A)}{P(M_B)}\) 이다.


\(P(M_B \mid A)\) = A에 자동차가 있을 때 진행자가 B를 열어줄 확률 = \(\frac{1}{2}\)

\(P(A) = \frac{1}{3}\) 

\(P(M_B) = \frac{1}{2}\) 

이므로

\(( \frac{1}{2} \cdot \frac{1}{3}) / \frac{1}{2} = \frac{1}{3}\)이다.


\(P(C \mid M_B)\)를 계산해보자.

베이즈 정리에 의해,

\(P(C \mid M_B) = \frac{P(M_B \mid C) \cdot P(C)}{P(M_B)}\) 이다.


\(P(M_B \mid C)\) = C에 자동차가 있을 때 진행자가 B를 열어줄 확률 = 1

\(P(C) = \frac{1}{3}\) 

\(P(M_B) = \frac{1}{2}\) 

이므로

\((1 \cdot \frac{1}{3}) / \frac{1}{2} = \frac{2}{3}\)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내가 문 A를 선택하고 진행자가 문 B를 열어서 염소를 보여주었다면,

  1. 선택을 바꾸지 않았을 때 A에 자동차가 있을 확률 = \(\frac{1}{3}\)
  2. 선택을 바꿨을 때 C에 자동차가 있을 확률 = \(\frac{2}{3}\)


아주 간단히 요약 정리



A에는 자동차, B와 C에는 염소가 있다.

나는 아무 것도 모르고, 사회자는 어디에 뭐가 있는지 모두 알고 있다.

선택의 순간, 바꾸는 경우와 바꾸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자.


[1] 바꾸는 경우

A를 골랐다면, B나 C로 바꿨을 때 모두 염소이므로 꽝.

B를 골랐다면, 사회자가 C를 보여주고 나는 A를 선택하게 되므로 당첨.

C를 골랐다면, 사회자가 B를 보여주고 나는 A를 선택하게 되므로 당첨.


[2] 안바꾸는 경우

A를 고르면 당첨.

B를 고르면 꽝.

C를 고르면 꽝.


그래서 결론?

안바꾸면 처음 선택할 때의 확률 그대로 \(\frac{1}{3}\)이다.

바꾸면 ‘처음 선택에 대한 미당첨 확률’이 ‘당첨 확률’로 역전되므로 \(\frac{2}{3}\)이다.


그럼 문이 3개가 아니고 100개, 1000개, 10000개라면?

처음 선택 후, 사회자는 염소가 있는 문을 각각 98개, 998개, 9998개 열어준다.

선택을 바꿨을 때 당첨 확률은 각각 \(\frac{99}{100}\) \(\frac{999}{1000}\), \(\frac{9999}{10000}\)인가요?

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